2021. 4. 27. 14:48 MAIN
자막 제작 프로그램 추천 5개
여기서 다룰 건 영상에 자막을 새로 만들거나 기존 자막의 편집, 싱크를 조정할 때 쓰는 프로그램들.
주로 쓰이는 추천할만한 smi 자막 편집 툴 몇 개를 소개해 본다.
원래 2007년에 같은 내용으로 작성해 둔 포스트가 있는데, 세월이 많이 흘렀으므로 오랜만에 이렇게 새로 정리.
하나씩 써보고 잘 맞는 걸 하나 선택해 사용하시기 바란다.
- 윈도우10 64비트, LAVFilters 코덱이 설치된 환경에서 테스트 했다.
- 자막 툴 하나하나의 자세한 리뷰와 사용법은 검색하면 나오므로 생략한다.
- 각각 프리웨어 / 오픈소스 / 도네이션웨어.
AHD Subtitles Maker (ASM)
적당히 괜찮은 외산 툴. 독특하게도 자체적으로 영상 코덱을 내장하고 있어 추가로 코덱을 깔아 줄 필요가 없다.
설치할 때 쓸데없는 보조 프로그램들도 설치할지 물어보니 Additional Tools는 체크 해제한 후 진행하도록 하자.
[다운로드 페이지]
============
자막 한방에~ (NeoCaption)
낡았지만 여전히 현역으로 쓰는데 지장이 없는 완성도 높은 툴. 가히 국산 표준 자막 프로그램이라 봐도 손색이 없을 듯하다. (단, 안전성을 위해 호환성을 XP모드로 맞춰주는 걸 추천. 옵션에서 광고창 끄기도 가능.)
SRT 자막을 불러올 수도 있지만 SMI로 자동 변환된 뒤 편집하게 된다. 최종 버전인 v3.31은 버튼이 안먹거나 저절로 꺼지는등 원래 없던 심각한 버그들이 생겼으므로, 가장 안정적인 옛 버전 v3.22를 써야한다.
[개발자분 블로그]
============
Subtitle Edit (섭타이틀 에디트)
갖출 건 다 갖춘 현존 최고의 자막 툴. 지금도 활발히 개발과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. 외산.
영상 코덱이 없을 경우 플레이어를 mpv로 대체 가능.
[공식 홈페이지]
============
SRTier
이건 자막의 제작보다는 포멧 변환이나 합치기, 교정 등을 담당하는 툴.
이미 만들어진 자막의 편집만 할 때 유용하다. SRT 자막 관리 도우미.
[개발자분 블로그]
============
이지캡션
기본기에 충실한 가장 심플한 자막 툴. 대신 오류체크나 싱크 비율 맞춤 등의 특수기능은 없다.
거의 20년 전 쯤 v1.22 이후로 소식이 없어서 개발 중단된 줄 알았는데, 인터페이스도 바뀌고 버전도 초기화 된 걸로 봐서 개발자분이 같은 명칭으로 처음부터 새로 만드신 듯 하다.
[개발자분 블로그]
============
소개는 일단 여기까지.
덤으로, 자막 제작의 기본을 익히고 싶다면 어느 프로그램을 쓰든 [여기 포스트]도 한번 참고해보시라.
※ 다음은 너무 낡았거나 설치/실행/불러오기 에러, 강제 종료 등등의 이유로 탈락한 후보들.
Subtitle Workshop, MakeSami, ICM, CCMP, KeySubSync, SubMagic, Subtitle Composer, Subtitle Creater, SMISyncW.
*NS Caption Creator - 플레이어를 KMP나 곰플레이어로 대체하면 여전히 쓸 수 있을법 하지만, 정식으로 개발 중단.
*Aegisub - 강력하지만 화려한 특수효과등 일반 smi/srt 제작용은 아니다.